top of page

말씀이 송이꿀보다 더 단 은혜를 주소서!

에스겔서 3장에 보면 선지자 에스겔이 두루마리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먹는 장면이 소개됩니다. “또 그가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너는 발견한 것을 먹으라 너는 이 두루마리를 먹고 가서 이스라엘 족속에게 말하라 하시기로 내가 입을 벌리니 그가 그 두루마리를 내게 먹이시며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내가 네게 주는 이 두루마리를 네 배에 넣으며 네 창자에 채우라 하시기에 내가 먹으니 그것이 내 입에서 달기가 꿀 같더라”(겔 3:1~3) 선지자 에스겔이 두루마리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먹었더니 그 입에서 달기가 꿀 같았다고 고백합니다. 참으로 귀한 은혜입니다. 


     그렇다면, 에스겔은 어떤 기록된 말씀을 먹었기에 그렇게 입에 꿀 같이 달았을까요? 격려와 위로의 말씀이었을까요? 세상의 복을 비는 말씀이었을까요? 칭찬의 말씀이었을까요? 어떤 말씀을 먹었기에 그토록 입에서 달았을까요? 바로 앞의 2장의 말씀에 에스겔이 먹은 기록된 말씀이 어떤 말씀인지 기록되어 있습니다. “내가 보니 보라 한 손이 나를 향하여 펴지고 보라 그 안에 두루마리 책이 있더라 그가 그것을 내 앞에 펴시니 그 안팎에 글이 있는데 그 위에 애가와 애곡과 재앙의 말이 기록되었더라”(겔 2:9~10) 에스겔 선지자가 먹은 말씀은 애가와 애곡과 재앙의 말씀이었습니다. 회개와 심판의 말씀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말씀이 그 입에서 꿀과 같이 달았다는 것입니다. 


     주 안에서 한 가족된 사랑하는 여러분, 정말 이 시대에 우리 가운데 일어나야 할 부흥이 아닐까요? 오늘날은 감정을 자극하여 웃고 울리고 자신의 귀를 가려주고 듣기에 편하고 세상의 헛된 소망을 빌어주는 설교가 인기입니다. 부담없이 들을 수 있는 설교, 마음에 찔림 없이 들을 수 있는 설교, 그런 설교에 사람들은 환호합니다. 이사야 선지자 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도 그러하였습니다. “그들이 선견자에게 이르기를 선견하지 말라 선지자들에게 이르기를 우리에게 바른 것을 보이지 말라 우리에게 부드러운 말을 하라 거짓된 것을 보이라”(사 30:10) 그리고 그들은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욕으로 여겼습니다. “내가 누구에게 말하며 누구에게 경책하여 듣게 할꼬 보라 그 귀가 할례를 받지 못하였으므로 듣지 못하는도다 보라 여호와의 말씀을 그들이 자신들에게 욕으로 여기고 이를 즐겨하지 아니하니”(렘 6:10)


     저의 면류관이요 기쁨이요 자랑인 사랑하는 여러분, 이 땅 가운데 교회가 빛과 소금의 사명을 충성되이 감당하려면, 세상 가운데 그리스도의 생명의 향기를 발하려면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를 교훈하고 책망하고 바르게 하고 의로 교육하고 우리의 심령의 죄를 드러내고 고발할 때 그 심령의 고통가운데서도 그 말씀이 그 입에 송이 꿀과 같이 달다고 고백하는 역사가 일어나야 할 것입니다. 강단에서 선포되는 말씀을 사람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아멘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그 말씀이 그 심령에서 역사하여 새 생명의 역사를 이루고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될 것입니다. 오늘날의 풍조는 자신을 향하여 책망하고 교훈하는 말씀을 듣기 싫어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말씀이 우리를 책망하고 교훈할 때 송이 꿀과 같이 달게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의 심령이 주님을 닮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시 119:103) 아멘! 


주님과 여러분으로 인해 행복한 목사 드립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순전한 말씀을 사모합시다.

내일이 청소차가 오는 날이라 저녁에 집 안의 쓰레기들을 모아서 쓰레기통에 넣으려고 쓰레기통 두껑을 열었는데 얼마나 고약한 냄새가 나는지 토할뻔 했습니다. 며칠 전에 버린 쓰레기들이 썩어서 악취를 풍긴 것입니다. 악취 뿐만이 아니라 쓰레기들 사이에...

성령충만한 혀, 아름다운 말

데일 카네기의 <성공대화론, 현대지성>이라는 책의 요약본을 읽었습니다. 그 내용 중에 이런 글이 있습니다. “한 문장을 104번 고쳐 쓰기, 당신 생각의 미묘한 부분까지 표현하기 위해 정확하게 말하려고 노력하라.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경험...

Service is success.

"영어 교사는 영어를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영어를 배우는 아이를 가르치는 사람이다." (가장 낮은 데서 피는 꽃 중에서)        주님의 제자교육은 철저히 섬김과 희생과 봉사의 삶을 가르친 삶의 교육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은 섬기기보다는...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